안녕하세요.
여름맘입니다.
지난 토요일 저녁부터
열이 시작되더니
열이 잘 안 잡혀 병원에 다녀왔어요.
진단은 돌발진!!
20개월에 접어든 여름이
돌발진이라니… 돌발진이라니…

그래서 오늘은 돌발진 대처와 해열제 교차복용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여름이는 원래부터 기초 체온이 좀 높아서
사실 37.5도 까지는 크게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요.
그리고 편도가 잘 붓는 체질이라
늘 집에는 해열제가 넉넉히 준비되어 있어요.
해열제는
아세트아미노펜 계열과 이부프로펜 계열 두 종류로 크게 나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흔히 알고 있는
타이레놀 계열의 해열제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6개월 미만의 아기라면
아세트아미노펜만 복용가능합니다.
여름이도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인 빨간색 챔프를 먼저 접했어요.
소염작용은 하지 않아
중이염이나 목감기 증상에는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두 번째로는 이부프로펜 계열인데요.
진통, 해열, 소염작용까지 모두 효과가 있습니다.
보통 파란색 챔프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병원에서 보통 처방해 주는 덱시부프로펜도 이부프로펜 계열로 보시면 됩니다.
열이 잘 잡히지 않을 땐
아세트아미노펜 계열과 이부프로펜을
교차복용하기도 합니다.
교차복용이 가능한 계열은
아세트아미노펜 ↔ 이부프로펜 (교차가능)
아세트아미노펜 ↔ 덱시부프로펜(교차가능)
이부프로펜 X 덱시부프로펜(교차불가)
교차복용간격은
같은 계열일 경우 4시간 이상 간격
다른 계열일 경우 2시간 간격
예를 들어볼게요.
6시 복용 - 10시 복용 (같은 계열)
6시 복용 - 8시 복용 (다른 계열)
3월 11일 토요일 저녁 6시
38.2도 찍고 챔프 빨간색을 복용합니다.
그리곤 평소처럼 밥도 잘 먹고 잘 잡니다.
그리고
3월 12일 일요일 새벽 5시
38.7도 찍고 다시 챔프 빨간색을 먹고
냉각시트까지 붙입니다.
여름이 파파 깨워서
병원 접수 보내놓고
물수건으로 닦이기 들어갑니다.
물수건 닦기 너무 거부해서
몰래 머리 위에 얹였어요.
(엄마 마음을 알까,,,,?)
약국에 들리 때면 항상 한통씩 사놓은 냉각시트
여름이는 이마에 절대 붙이지 않아서
등에 붙이곤 합니다.
엄청 드라마틱하진 않지만
열에는 장사 없잖아요😭😭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붙이는데
아기마다 효과는 다르니까요.
병원에서 돌발진 진단받고
해열제와 항생제 처방받아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오전 9시 50분
병원에서 처방받은 해열제 복용합니다.
속 시원하게 떨어지지 않고
38도와 37.8도 사이를 왔다 갔다 합니다.
결국 38.5도까지 올라 교차 복용하기로 결정하고
3시간 만에 빨간색 챔프 다시 복용합니다.
그리고 오후 5시 병원에서 받은 해열제 복용.
역시나 잘 안 잡힙니다.
저녁 9시 결국 맥시부펜 시럽으로 바꿔 다시 복용하고 잠이 들었어요.
지금 새벽 12시 반인데 36.8도로 떨어지고 잘 자고 있습니다.
2~3일 정도 열이 나고 열꽃까지 핀다고 하니
마음 놓을 순 없지만 기도해 봅니다.
무사히 지나가길...

** 아기 돌 발진, 열날 때
1. 열의 원인 파악하기
- 고열이 지속되면 꼭 병원에 가보세요.
열의 원인을 잡지 않고 계속 해열제만 먹이면 절대 안 돼요.
2. 열이 38도 이상 올라가면 해열제 복용하기.
- 전 37.9도라도 일단 다른 방법으로 열을 내리려고 노력했어요.
해열제도 우선 약이니까 자꾸 먹으면 좋진 않아요.
그리고 평소에 아기가 잘 받는 해열제가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아기가 잘 받는 해열제를 한번 찾아보는 것도 좋아요.
열의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병원에서는 이부프로펜 계열의 해열제를 처방해 줍니다.
3. 교차복용 미리 준비하기
- 위에서 설명했듯이 열이 잘 안 잡힐 때를 대비해서
다른 계열의 해열제도 준비해 주세요.
복용 방법도 잘 알아두시고요.
4. 물수건 닦이기
- 차가운 물수건이 아닌 미지근하거나 살짝 따뜻한 물수건입니다.
물을 몸에 묻히면서 열을 빼는 것이기 때문에
너무 차가운 물수건은 아기가 놀라거나 물수건을 거부할 수 있어요.
5. 물 자주 마시기
- 수분 보충은 필수입니다.
6. 수딩 젤 또는 수딩 로션 바르기
- 열꽃이 피기 전부터 발라주시면 좋아요.
또 물수건으로 자주 닦이면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예민해질 수 있으니 자주 발라주세요.
7. 얇은 옷으로 갈아입히기
- 열이 오르지 않도록 얇은 내복이나 여름내복으로 갈아입혀주세요.
'여름이와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YK SCOOTER 2 in 1 킥보드 솔직후기 (0) | 2023.03.29 |
---|---|
아기 돌발진 일요일 진료보는 병원 대구 수성 아동병원 (3) | 2023.03.12 |
단유 이야기 - 단유할 때 필요한 것들 (0) | 2023.02.15 |
행복했던 모유수유의 끝 - 단유 성공하는 법 (0) | 2023.02.12 |
여름이와 함께한 모유수유 18개월 - 모유수유 언제까지? 단유를 꼭 해야할까? (0) | 2023.02.11 |
댓글